'게발선인장 꽃을 보신 적이 있나요?'
게발선인장의 원산지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해안 산림지역에서 독일의 식물학자이자 박물학자인 칼 프리드리히 필르프 폰 마르티우스가 1816년에서 1839년 사이에 발견되었다 합니다.
■ 게발선인장의 학명
게발선인장의 학명은 Schlumbergera truncata입니다. 속명 (Genus name) Schlumbergera는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까지 활동한 프랑스 식물학자인 프레데릭 슐럼버그(Frdric Schlumberger)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는 선인장과 여러 식물을 광범위하게 연구해 다양한 식물 종을 분류하는 것에 기여한 인물로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게발선인장의 속명을 그의 이름을 붙여 사용하였습니다 종명(Species name) truncata는 라틴어로 ' 잘린 ', 'truncated'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게발선인장의 줄기모양이 마치 잘린 듯한 모양을 보고 붙여져 '슐럽버그의 잘린 줄기'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게발선인장은 식물의 특징적 모습에 의해 종명이 붙여진 만큼 특이한 모습으로 영어로는 'Crab castus'라 불리며, 크리스마스 시즌에 꽃이 피어 '크리스마스 선인장'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게발선인장의 형태는 줄기가 납작하고 길쭉하게 자라며, 게의 다리처럼 마디가 생기며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줄기 끝부분에는 흰색, 붉은색, 보라색 등의 다양한 색깔을 가진 아름다운 꽃이 피어납니다.
■ 게발선인장을 잘 키우는 방법
게발선인장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라지만 직사광선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흙이 마르면 물을 주어야 하며 물을 자주 주면 뿌리가 썩게 되어 건조하게 키우기 바랍니다.
번식을 원할 경우 마디 부분을 잘라 삽목 할 수 있으며, 씨앗으로 가능합니다.
■ 게발선인장 특징
게발선인장은 밤에 꽃을 피우며 향기가 은은하게 나는데 이는 밤에 활동하는 곤충을 유인하여 수분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합니다.
꽃은 개화기간이 몇 시간에서 하루 정도로 짧게 피지만 새로운 꽃이 계속 피어 오랫동안 꽃을 감상할 수 있으며, 꽃말은 아름다움, 매혹, 사랑 등이 있습니다.
공기 정화 능력이 뛰어나며 다양한 품종 개발을 하여 인기 있는 실내식물입니다.
■ 선인장의 일반적인 특징
선인장은 건조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생존방식을 택했습니다. 잎은 가시로 변화되어 표면적을 줄여 수분 증발을 최소하 하였고 동물의 공격에서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줄기의 경우 팽창성을 가지고 있어 물을 저장하게 되어 비가 오면 물을 흡수하고 건조한 시기에는 저장한 물을 이용해 생존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뿌리의 경우 넓고 표면에 얕게 퍼져 넓은 면적에서 물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선인장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천천히 자라는 방식을 선택해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게 되었습니다.
선인장의 다양한 꽃은 강렬한 색상과 독특한 모양으로 짧은 기간 피는 시기에 곤충의 시선을 사로잡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잡습니다.
■ 선인장의 특징
1. 선인장은 물을 저장하는 두껍고 많은 줄기를 가지고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줄기에서 광합성을 합니다.
2. 대부분의 선인장은 잎이 퇴화하여 변형된 가시를 가지고 있어, 동물에 대해 방어를 할 수 있고 수분 증발을 줄이며, 그늘을 만들어 햇볕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합니다.
3. 선인장에는 작은 쿠션 모양의 구조가 있는데 이는 아레올이라 하며 이곳에서는 가시, 털, 꽃, 새로운 줄기 등이 자라납니다.
4.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매우 작거나 거대한 선인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5. 선인장의 뿌리는 얕고 넓게 퍼져 비가 오거나 이슬이 내릴 때 빠르게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6. 선인장은 물을 절약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7. 대부분 아름다운 꽃을 피웁니다.
8. 열매는 일부 식용가능합니다.